Overview
이 프로젝트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UX디자인 수업의 팀 프로젝트로 진행되었다. 우리는 실제 문제를 사용자 중심 관점에서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혼자 사는 사람들을 위한 모바일 헬스케어 앱을 기획하게 되었다. 대상은 바쁜 직장인, 대학생, 혹은 만성 질환을 가진 사람들처럼 시간, 스트레스, 생활 방식 때문에 병원 방문이 어려운 사용자였다.
Team
Timeline
Tools
Challenge Highlight
Problem Statement
한국에서는 일과 학업, 개인 생활을 동시에 병행하는 1인 가구 청년층이 많다.이들은 건강을 등한시해서가 아니라, 그럴 여유조차 없어서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발견한 주요 문제는 세 가지였다:
병원 갈 시간이 없다
건강 관리 방향을 잘 모른다
정보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런 질문을 던졌다:
The Question:
Solution Highlight
The Solution:
포켓닥터 – 내 주머니 속 나만의 의사 선생님!
Process

Research
데스크 리서치
사용자 관찰
사용자 인터뷰

Synthesis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페르소나

Ideation
컨셉 브리핑
비주얼 아이덴티티 기획
와이어프레임

Design
최종 UI 디자인
프로토타입

Reflection
결룬
인사이트
Research Results
데스크 리서치
초반에는, 한국에서 혼자 사는 사람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이해하는 데 집중했다.
주요 리서치 인사이트:
전체 가구의 40%는 1인 가구
2021년 10월 기준, 1인 가구가 가장 일반적인 생활 형태로 자리잡았다.
정신적, 신체적 웰빙이 가장 큰 고민
감정적 스트레스, 집안일, 건강 문제 등이 1인 가구의 주요 스트레스 요인으로 나타났다.
건강 관련 응급 상황 대처가 가장 걱정됨
서울 거주자 절반 이상이, 건강 응급 상황을 혼자 감당하는 것이 가장 불편하다고 답했다.
이 리서치 결과는
Insight 1:
Research
사용자 인터뷰 & 관찰
실제 사용자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우리는 8명의 환자 + 1명의 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 리서치를 진행했다.
우리가 탐색한 질문:
기존 건강 앱은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
방법: 사용성 테스트, 진료 후 인터뷰
지속적인 케어가 필요한 사용자 니즈는 무엇일까?
방법: 인터뷰, 행동 관찰
건강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떤 행동을 하는가?
방법: 인터뷰, 실제 행동 관찰
의료진이 원격 진료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방법: 전문가 인터뷰
Synthesis
우리가 배운 것들
수많은 스티키 노트, 데이터 분석, 그리고 "아하!"의 순간들을 지나 다음과 같은 핵심 테마를 도출했다:
"나 스스로 건강을 쉽게 챙기고 싶어요"
내 상태를 쉽게 기록하고 추적하고 싶다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증상 기록 기능이 필요함
내 기록을 기반으로 맞춤형 팁이 나오면 좋겠다
일반적인 정보보다 나만을 위한 똑똑한 조언이 필요함
꾸준히 하려면 습관 형성이 필요하다
리마인더, 동기 부여 요소가 도움이 됨
원격으로 상담받고 싶다
줄 서거나 병원 가는 것 없이 빠르게 질문하고 진단받고 싶음
건강 기록을 쉽게 공유하고 싶다
모든 진료 기록이 한 곳에 정리돼 있고, 병원에 쉽게 전송 가능해야 함
의사로부터 의미 있는 피드백이 있었으면 좋겠다
지금 내 상태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전문가의 코멘트를 원함
비슷한 경험을 나누고 싶다
혼자가 아니라는 걸 느끼고 싶음
지인이 필요할 때 도움을 요청하고 싶다
친구나 가족에게 쉽게 공유하거나 요청할 수 있는 기능 필요
커뮤니티로부터 배우고 싶다
정보를 나누고, 질문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함
Ideation
컨셉 브리핑
아이데이션 단계에서는 전체 디자인의 방향을 이끌어줄 모바일 앱 컨셉을 정리했다. 이 컨셉은 이후 와이어프레임과 UI 결정의 중심이 되었다.
Ideation
비주얼 아이덴티티
Pocket Doctor - 아플 때, 불안할 때 곁에 있어주는 든든한 의사 친구 💊
우리는 이 앱이 명확함(Clarity)과 감정적 따뜻함(Warmth)을 동시에 담을 수 있도록, 컬러 팔레트, 타이포그래피, 로고 등을 선정했다. 사용자가 친근하고 신뢰할 수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비주얼을 설계했다.
Ideation
와이어프레임
앱의 흐름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중간 단계 와이어프레임(mid-fidelity)을 제작했다.
와이어프레임 미리보기 👀:
Design
최종 디자인 & 프로토타입
1.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건강 데이터 기록
증상, 심박수, 체온 등 다양한 데이터를 쉽게 기록하고, 개인 맞춤형 팁, 알림, 콘텐츠 추천을 제공함
동기 부여 요소 제공
뱃지, 챌린지 등을 통해 건강 습관 형성을 돕는다
2.
간편한 원격 진료
증상 선택 → 온라인 상담 연동
의료 전문가와 쉽고 빠르게 연결 가능
모든 병원 정보 한 곳에
진료 기록, 처방전, 의사 메모 등 모든 정보를 앱 내에서 통합 제공
3.
건강 정보 공유 & 지지
커뮤니티 팁 공유
사용자 간 건강 관련 팁 나누기
건강 상태 공유
가족, 친구, 주치의에게 내 상태를 간편하게 전달
Reflection
결론
이 프로젝트는 단순히 UI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 사용자의 경험과 필요를 이해하는 여정이었다. 1인 가구 청년층을 위한 헬스케어 제품을 설계하면서, 우리는 효율성을 넘어서 배려와 공감이 담긴 디자인을 고민하게 되었다.
주요 인사이트:
1인 가구에게는 "시간을 뺏지 않는" 헬스케어가 필요하다
사용자는 긴 설명보다, 몇 번의 클릭으로 끝나는 경험을 원함
의료 용어는 생각보다 어렵다
우리가 이해하는 데도 시간이 걸렸고,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구조로 바꾸는 데 집중함
의료 전문가의 인사이트를 얻는 것은 쉽지 않다
현업은 매우 바쁘기 때문에, 인터뷰 전 충분한 준비와 설계가 중요하다는 걸 배웠다
The End